[!nt] 입소식
여러분들이 성장을 많이 언급하셨다. 성장의 지표를 정해보는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. 화면으로 만나본 의장님은 _기본기/꾸준한_학습/경험의_축적/팀워크(함께 할 수 있는사람)_를 강조하셨다. 그리고 여기 커리큘럼 좋은 것이니 나중 일을 생각 말고 ‘오늘, 이번주’에 집중하는게 좋다고도 하셨다.
[!nt] Tip
- 원한다면 CSAPP 관련 주제로 발표 영상을 만들 수 있다. 아마 유투브에 업로드도 시켜주시는 것 같다.
- 잘하는 사람들의 방식을 나도 해보자. 정글 과정이 끝나도 이어나갈 수 있는 나의 방식을 찾자.
- 공부도, 소통도
[!td]
나의 성장은 무엇인지 정의하고 구체적 목표 세우기
- 하루의 시작에 당일 수행할 것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그에 따라 움직이자
나의 성장은 무엇인가? 내가 했던 말과 생각
“구체적이며 신뢰할 수있는 학습 로드맵과 멘토, 그리고 비슷한 목표를 가진 동료를 얻기위해 지원합니다.”
[!td] 작은 친절에 보답하기
- 2025-09-10 / 민정님 / 랜덤런치 때 휴대폰을 두고온 나에게 밥값/커피값을 빌려주셨다.
- 2025-09-12 / 창민님 / 내가 자리에 없을 때 물티슈 뚜껑 닫아주셨다. 마를까봐.
- 그 얘길 농담처럼 하시면서 슬쩍 인사를 해주셨는데, 별거 아닐수도 있지만 먼저 선의와 호의를 베푸 는 것은 분명 감사할 일이다.
[!td]
- gh dash 설치하고 활용하기: PR 및 Issue를 쉽게 보고 응답가능
gh pr list
gh pr checkout <name-what-I-want>
# in DiffviewFileHistory --range=origin/dev..HEAD
[!lg] Log 2025-09-03
실행 계획:
gh pr list
로 PR 번호를 확인한다.- PR 번호를 사용해 PR의 head를 fetch한다.
- 로컬 브랜치로 체크아웃한다.
- 원하는 브랜치와 비교한다.
예시: PR 번호가 123이고, 내 로컬 브랜치가
main
이라면:git fetch origin pull/123/head:pr-123 git checkout pr-123 git diff main...pr-123
# 현재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푸시
git push origin HEAD
# GitHub CLI로 PR 생성
gh pr create --base <target branch>
이후에 추가적이 변경이 생기면 그냥 commit 후 다시 push하면 자동으로 PR에 반영된다. PR은 remote에 존재하는 두 브랜치를 비교하는거기 때문에
feature 브랜치를 dev 기준으로 rebase하는 체크리스트
# 1. 원격 dev 브랜치 최신화
git fetch origin dev
# 2. 로컬 dev 브랜치 최신화
git checkout dev
git merge origin/dev
# 3. 작업 브랜치(feature)로 이동
git checkout <feature-branch>
# 4. dev 브랜치 기준으로 rebase
git rebase dev
# 5. (충돌 발생 시)
- 충돌 파일 수정
- git add <수정한 파일>
- git rebase --continue
# 6. rebase 완료 후 원격 브랜치 강제 푸시, rebase는 해당 브랜치의 부모 커밋 해시를 바꾼다.
git push origin <feature-branch> --force
# 7. (rebase되어 기존 맥락을 잃어버리면 헷갈릴 수 있으니 필요시 알려준다.)
(필요시) PR에서 rebase로 인해 변경된 내용 코멘트 남기기
# 7. (merged 이후 브랜치 삭제하기)
(필요시) git push origin --delete 브랜치이름
[!nt] 알고리즘 (1~4주차)
진행 방식: 챕터&키워드 + 실습(문제 풀기) + 시험 및 리뷰
[!td]
팀별 면담 후 지호님과 말씀을 나누면서 알고리즘 주간에 대한 나의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.
- 주어진 문제의 정답을 전부 맞추는 것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다.
- 모든 문제를 풀어보는 기회를 가지자. 그러기 위해서 아쉬워도 시간제한을 철저히 두자.
- 소요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힌트를 조금씩 얻어가면서 시도해보자.
- 학습할 키워드도 있다.
- 알고리즘 주간에 (제공받은 책들) ‘Do it!’ 뿐만 아니라 CSAPP, 운영체제 책도 일부 소화해야 한다.
hong 강의도 최소한의 시간 배분을 해야한다.
- ‘정글’ 전과정에 걸쳐 책읽기 목표를 정하자
- 어렵다면 일단 알고리즘 주간에 마칠 중간 목표라도 정하자
- Do it!: 파트n
- CSAPP:
- 운영체제:
- 책읽기 목표를 위하여 ‘언제/얼만큼씩 시간을 투입’할지 계획하고 ‘캘린더에 반복일정 생성’하자.
- Do it!: n요일 / nn:nn ~ nn:nn
- CSAPP:
- 운영체제:
- 주차별 키워드 등 주차별 노트 생성시 기본적으로 세팅하자.
- 한 문제당 총 시간: n분
- 점진적으로 힌트를 얻어갈 기점: n분
- 알고리즘 문제 하나당 얼만큼의 시간을 투입할지 계획하자.
- 한 문제당 총 시간: n분
- 점진적으로 힌트를 얻어갈 기점: n분
- hong 강의를 위한 시간을 배분하자.
- 언제/얼만큼씩
- 파이썬 기초:
- 파이썬 자료구조:
- 파이썬 알고리즘:
- C언어:
- 캘린더에 입력
[!td]
- 콤파스의 챕터 1~3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잘 읽어보고 분류해 활용하자. 여기 노트에 잘 기록하자.
[!td]
- [c] 10강까지 듣고 2025-09-14 (일) 20:00
- 9강까지 듣고 2025-09-14 (일) 20:00
[!rf]
- 유투브 - 널널한 개발자 인프런-독하게 시작하는 c프로그래밍
- 이른바 ‘곰’ 책이라 불리는 OS 책. 무료 해설 강의가 유투브에 풀려있다.
[!td]
- python debug setup
- worth it?
[!td]
- 알고리즘 주간을 위한 노트 구조 재편
- 키워드 학습 포함하기
[!lg] “함수를 만들어 사용할 때 글로벌 변수에 의존하는 것은 나쁜 습관이다.” 2025-09-09, 지호님
[!re] 주차별 노트를 생성할 때, 최상단에 “커리큘럼 정보”에서 얻은 기본적인 목표를 정리해두자.
[!re] 주차별 노트를 생성할 때, 최상단에 “커리큘럼 정보”에서 얻은 기본적인 목표를 정리해두자.